사업용 공인인증서의 종류와 사용법을 알아봅시다 📂

안녕하세요
택스 큐레이터 김경아 세무사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사업자를 내신 대표님들이 의외로 어려워하시는
사업용 공인인증서(공동인증서)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Ⅰ. 공동인증서(공인인증서)는 어떻게 발급받나요?

인터넷뱅킹을 사용하거나 홈택스에서 민원증빙과 전자세금계산서를 발급하는 등
사업을 편리하기 하기 위해서는 사업자 명의 공동인증서(공인인증서)는 반드시 필요합니다.

✔️개인사업자의 경우 개인의 인증서로도 사용이 가능한 경우가 간혹 있지만, 사업용 공인인증서를 발급받을 것을 강력히 권장하며
✔️법인사업자의 경우 필수로 법인 명의의 공동인증서가 필요합니다.

사업자 등록이 완료되어 사업자 등록번호가 생기고, 은행에서 사업용 계좌를 만드시게 되면 이제 공동인증서를 발급 받으실 단계입니다.

▼ 발급 절차는 아래와 같습니다.
사업용 계좌를 발급받은 은행 홈페이지에 접속합니다.
ⓑ 회원가입/로그인 후 인증센터(기업) 페이지에 접속합니다.
ⓒ 공동인증서 발급 페이지에 접속합니다.



Ⅱ. 공동인증서(공인인증서)에 종류가 어떻게 되나요?

일반적으로 개인이 사용하는 공동인증서에는 종류가 따로 없지만, 사업용 공동인증서는 세 종류가 있습니다.
그래서 사업을 처음 시작하시는 대표님들께서 많이 혼란스러워하시죠🥲

1) 일반용 공동인증서 : 인터넷뱅킹에 사용 가능합니다.
2) 전자세금용 공동인증서 : 홈택스 전자세금계산서 발급 등 업무에 사용 가능합니다.
3) 범용 동인증서 : 모든 거래에 사용 가능합니다.

사용 범위만 보면 범용 공동인증서가 가장 편리합니다.
하지만 공동인증서는 매년 갱신해야 하는데, 범용 공동인증서의 발급 수수료 110,000원은 다른 두 공동인증서의 4,400원에 비해 부담이 큰 편 입니다.

따라서 대부분의 기업에서는 은행용과 전자세금용 두 가지를 각각 발급하여 사용하고 있습니다.
은행용은 은행이나 카드사 홈페이지에서, 전자세금용은 홈택스에서 용도를 나누어 사용하시면 됩니다.





Ⅲ . 공동인증서(공인인증서)는 지점과 같이 써도 되나요?

법인에서는 본점과 지점이 같이 생기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홈택스 가입이나 공동인증서 사용을 굳이 나눠서 해야 하는지 궁금해 하시는 경우가 있습니다.

답변을 드리자면, 공동인증서는 사업자 단위로 발급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본점과 지점은 별개의 사업자이므로, 공동인증서도 별개로 발급받으셔야 합니다.

단, 사업자단위과세 신청을 통해 본지점의 사업자등록번호가 같은 경우에는 함께 사용하셔도 무방합니다.

이상으로 사업용 공동인증서(공인인증서)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세금 고민이 있으면 택스 큐레이터를 찾아주세요❤️

💌joy@taxcurator.co.kr
📞010 3026 4003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You cannot copy content of this page

위로 스크롤